본문 바로가기

스파르타코딩클럽(내일배움캠프)

스파르타코딩클럽 내일배움캠프 6주차 2일

728x90

[MYSQL]

ERD (Entity Relationship Diagram)
개체-관계 모델. 테이블간의 관계를 설명해주는 다이어그램이라고 볼 수 있으며, 이를 통해 프로젝트에서 사용되는 DB의 구조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습니다.
다시말해 API를 효율적으로 뽑아내기 위한 모델 구조도라고 생각하면 됩니다.

 

RDBMS

  • RDBMS는 ‘Relational DBMS’의 약자로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라고 불립니다.
  • RDBMS는 테이블(table)이라는 최소 단위로 구성되며, 이 테이블은 열(column)과 행(row)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. 

H2

In-memory DB의 대표 주자인 H2를, 앞으로 연습용으로 사용할 것입니다. 인메모리 DB란 서버가 작동하는 동안에만 내용을 저장하고, 서버가 작동을 멈추면 데이터가 모두 삭제되는 데이터베이스를 말합니다.

 

MYSQL

  • MySQL은 우리가 서비스를 배포할 때 사용할 데이터베이스입니다.
  • AWS RDS 라는 서비스를 사용해 붙여볼 예정입니다.
  • 스프링과 궁합이 좋아서 많은 회사에서 사용하고 있습니다.

[알고리즘]

 

class Solution {
    public int[][] solution(int[] num_list, int n) {
        int[][] answer = new int[(num_list.length/n)][n];
        int cnt=0;
        for(int i=0;i<num_list.length;i+=n)
        {
            for(int j=0;j<n;j++)
            {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answer[cnt][j] = num_list[i+j];
            }
            cnt++;
        }
        return answer;
    }
}

 

오래걸렸던 부분 : for문하고 length를 잡을때 new int[(num_list.length/n)][n] -> new int[(num_list.length/2)][n] 이렇게 잡았던 부분과   for(int i=0;i<num<list.length;i+=2) 이런식으로 무조건 2씩 증가하고 2씩 나누게 하는식으로 했었어서 오래걸렸습니다. 사소한 부분이지만 조심해야겠습니다. 그리고 for문에서 i+j가 아니라 i로만해서 안돌아갔네요... 코테 깜깜하네요 ㅠㅠ

 

 

728x90