오늘은 파이썬에서 해깔리는 자료형들을 정리해보았다.
1. 리스트
people =[1,2,3,4,5]
2. 딕셔너리
{'name': 'bob', 'age': 20},
3. 리스트 + 딕셔너리
people = [
{'name': 'bob', 'age': 20, 'score':{'math':90,'science':70}},
{'name': 'carry', 'age': 38, 'score':{'math':40,'science':72}},
{'name': 'smith', 'age': 28, 'score':{'math':80,'science':90}},
{'name': 'john', 'age': 34, 'score':{'math':75,'science':100}}
]
3-1 smith의 science값 접근
result = people[2]['score']['science']
4. 함수
def check_gender(pin):
num = pin.split('-')[1][:1]
if int(num) %2 == 0:
print('여자')
else :
print('남자')
주민등록번호 여자인지 남자인지 구분
check_gender('150101-1012345')
check_gender('150101-2012345')
check_gender('150101-4012345')
4. 튜플
리스트와 같지만 constant인 자료형
a = (1,2,3)
a[0] = 99 <-- 불가
장점 : 변경 불가
5. 집합
중복이 제거
a = [1,2,3,4,5,3,4,2,1,2,4,2,3,1,4,1,5,1]
a_set = set(a)
print(a_set)
장점 : 중복된 값 한번만 출력
6. f-string
scores = [
{'name':'영수','score':70},
{'name':'영희','score':65},
{'name':'기찬','score':75},
{'name':'희수','score':23},
{'name':'서경','score':99},
{'name':'미주','score':100},
{'name':'병태','score':32}
]
for s in scores:
name = s['name']
score = s['score']
print(name+'의 점수는 '+str(score)+'점입니다.') # <---score는 정수이므로 문자로 변환
print(f'{name}의 점수는 {score}점 입니다.')
# 장점 : print할시 f-string의 이점은 +랑 ' 개수가 적어지는 장점이 있습니다.
'스파르타코딩클럽(내일배움캠프)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스파르타 코딩 클럽 2주차 4일 (0) | 2022.11.11 |
---|---|
스파르타 코딩 클럽 2주차 3일 (1) | 2022.11.10 |
스파르타 코딩클럽 2주차 1일 (0) | 2022.11.07 |
스파르타 코딩 클럽 1주일차 후기 (0) | 2022.11.04 |
스파르타 코딩 클럽 5일차 (3) | 2022.11.04 |